Computer Science/Linux
[Linux] 사용자 분류와 계정 명령어
웅지니어링
2025. 1. 14. 10:09
* 사용자 분류
- 루트 계정 : 모든 권한을 가진 특별한 사용자(UID 값이 0)
- 시스템 계정 : 리눅스 설치 시 기본으로 생성되는 계정
- 사용자 계정 : 실제 리눅스 사용자를 위한 계정(관리자에게 권한을 부여받아 사용)
→ 리눅스에서는 사용자를 root(관리자)와 일반 사용자로 구분.
각각 계정은 흔히 사용하는 ID가 아니라 번호로 부여하는 UID로 관리
* 리눅스 계정과 관련된 명령어들
- 현재 호스트에 로그인 되어 있는 모든 사용자 출력
$ users
- 모든 사용자 정보 자세히 출력(터미널 종류, 로그인 시각 등 기본적으로 출력)
$ who [options]
- 계정 전체 확인
$ cat /etc/passwd
- root 암호 설정
$ sudo passwd root
- root 로그인
# 현재 계정에서 root 권한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실행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
# sudo 뜻 : superuser do
$ sudo
# 로그아웃을 하지 않고 다른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환(계정명 미입력이면 root로 로그인)
# su 뜻 : switch user
$ su [계정명]
su 명령어는 su와 su - 로 나뉘는데 둘의 차이점이 존재한다.
- su : 기본적으로 환경 변수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다른 사용자로 전환한다.
- su - : 사용자의 로그인 셸을 실행하므로, 그 사용자의 환경 설정이 적용된다. 즉 su -는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하고, 해당 사용자의 .bash_profile이나 .bashrc와 같은 설정 파일들을 실행하여 환경을 초기화한다.
- 자기 자신의 비밀번호 변경
$ passwd
- 다른 사용자의 비밀번호 변경
$ sudo passwd [사용자명]
- 사용자 추가
$ useradd [사용자명]
추가된 사용자는 /etc/passwd 파일에서 확인 가능하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