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트랜잭션
- jpa
- Data structure
- BFS
- db
- Docker
- 플로이드-워셜 알고리즘
- javascript
- websocket
- OS
- PYTHON
- 알고리즘
- 완전탐색
- mysql
- 영속성 컨텍스트
- CS
- nosql
- redis
- 프로그래머스
- 백준
- DFS
- HTML
- Algorithm
- 운영체제
- 자료구조
- CSS
- spring
- java
- It
- 데이터베이스
Archives
- Today
- Total
If at first you don't succeed, try again
[Redis] Redis 기본 명령어 본문
* 데이터 저장 명령어 set
# set [key 이름] [value]
$ set member:name "James Brook" # 띄어쓰기를 해서 저장하려면 ""으로 묶어줘야 함
$ set member:nickname wanda
* 데이터 조회 명령어 get
# get [key 이름]
$ get member:name
$ get member:nickname
* 저장된 모든 key 조회
$ keys *
* key를 통해 데이터 삭제
# del [key 이름]
$ del member:name
$ get member:name # 삭제되었는지 확인
* 데이터 저장 시 만료시간(TTL) 정하기
Redis는 RDBMS와는 다르게 데이터 저장 시 만료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. 즉,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되면 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. Redis의 특성 상 메모리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를 redis에 저장할 수는 없다. 따라서 TTL을 활용해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만 redis에 저장하고 사용한다.
# set [key 이름] [value] ex [만료시간(초)]
$ set member:pet cat ex 30
여기서 key는 member:pet에 해당하고 value는 cat이다. 이 데이터의 만료시간은 30초이다.
30초 후면 이 데이터는 삭제된다.
* 만료시간(TTL) 확인
# ttl [key 이름]
# 만료 시간이 몇 초 남았는지 반환
# 키가 없는 경우 -2를 반환
# 키는 존재하지만 만료 시간이 설정되어있지 않은 경우는 -1을 반환
$ ttl member:pet # 위의 코드 블럭에서 ttl을 설정했으므로 남은 시간이 반환될 것이다.
$ ttl member:nickname # 키는 존재하지만, 만료 시간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-1이 반환
$ ttl blabla:name # 키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-2 반환
* 모든 데이터 삭제
$ flushall
'DB > Redi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dis] MySQL 조회 속도 vs Redis 조회 속도 (2) | 2025.03.12 |
---|---|
[Redis] Redis 캐싱 전략 (0) | 2025.03.05 |
[Redis] Redis의 개념 (0) | 2025.03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