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DFS
- jpa
- 프로그래머스
- OS
- 트랜잭션
- redis
- javascript
- spring
- 백준
- PYTHON
- 완전탐색
- mysql
- HTML
- java
- websocket
- 운영체제
- BFS
- Docker
- 알고리즘
- Algorithm
- 영속성 컨텍스트
- db
- 플로이드-워셜 알고리즘
- 자료구조
- Data structure
- CS
- 데이터베이스
- CSS
- nosql
- It
- Today
- Total
목록mysql (3)
If at first you don't succeed, try again

* 개요얼마 전, Docker로 MySQL 컨테이너를 띄운 후, 데이터베이스에 다량의 데이터를 저장했다.그런데 rm 명령어를 잘못 써서 MySQL 컨테이너가 삭제되는 대참사가 발생했다.컨테이너가 삭제되면서 DB는 물론, 데이터도 다 날아가버렸다...복구 방안이 없나 찾아봤지만, 찾을 수 없었다..Docker Volume을 활용하면 데이터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여 공부 겸 글을 쓰게 되었다. * Docker Volume이란?도커의 볼륨이란 도커 컨테이너에서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방법이다. 볼륨은 컨테이너 자체의 저장 공간을 사용하지 않고, 호스트 자체의 저장 공간을 공유해서 사용하는 형태이다. * Docker Volume 명령어$ docker run -v [host directory 절대..

* 개요타 RDBMS보다 NoSQL인 redis의 속도가 훨씬 빠르다길래 궁금해서 한번 실습을 해보았다.Framework는 Spring Boot를 사용, 더미 데이터는 100만 건을 넣었고, 간단한 게시글 조회로 실습을 진행하였다.조회 속도 확인은 Postman을 통해 진행하였다. * Repository 구현import org.springframework.data.domain.Page;import org.springframework.data.domain.Pageable;import org.springframework.data.jpa.repository.JpaRepository;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Repository;@Repositorypublic inter..

* 개요얼마 전 대용량 시스템 공부를 진행하면서, DB에 약 700만건의 테스트 데이터를 삽입하였다.그 후 페이징 처리를 하기 위해서 조회를 하였는데,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.select * from article where board_id = 1 order by created_at desc limit 30 offset 90;1번 게시판의 91번 게시글에서 120번 게시글까지 가져오는 데에 17초 이상이 걸린다.실제로 사용자가 페이지를 조회하고자 한다면 불편함을 토로할 것이다.explain 명령어를 통해 쿼리 플랜을 확인해보았다.explain select * from article where board_id = 1 order by created_at desc limit 30 offset 90;쿼리 타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