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자료구조
- spring
- Docker
- db
- 플로이드-워셜 알고리즘
- DFS
- 완전탐색
- Data structure
- Algorithm
- redis
- java
- 운영체제
- OS
- javascript
- It
- nosql
- 백준
- 트랜잭션
- HTML
- CS
- 알고리즘
- PYTHON
- jpa
- websocket
- 데이터베이스
- CSS
- 프로그래머스
- BFS
- mysql
- 영속성 컨텍스트
- Today
- Total
목록데이터베이스 (4)
If at first you don't succeed, try again

* 트랜잭션(Transaction)이란?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리적인 작업의 단위를 의미한다. 여러 작업이 하나의 단일 작업처럼 수행되도록 보장하여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. * 트랜잭션의 4가지 특성(ACID)원자성 (Atomicity)모든 작업이 완전히 수행되거나 전혀 수행되지 않아야 함중간에 오류가 발생하면 모든 작업이 롤백(Rollback)예: 송금 시, 돈을 보내는 작업과 받는 작업이 모두 성공하거나 둘 다 취소됨일관성 (Consistency)트랜잭션 전후로 데이터베이스의 상태가 일관되어야 함예: 은행 계좌에서 출금 후에도 총 잔액은 변하지 않음격리성 (Isolation)동시에 수행되는 트랜잭션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장예: 두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상품을 구..

먼저 https://www.postgresql.org 에 접속한다.그 후 Download 버튼을 입력한다.해당 사진과 같이 자신의 PC에 맞는 운영체제과 버전을 골라 설치하면 된다.다 설치했다면 환경변수 설정을 해야한다.windows 검색창에 "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"이라고 검색한다. 검색했다면 이러한 창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.환경 변수 버튼을 누른 다음, path 변수를 편집한다. 편집 버튼을 누른다면 이러한 창이 나타난다."새로 만들기" 버튼을 클릭 후 PostgreSQL을 설치한 경로를 입력해주면 된다.필자의 경우에는 C:\Program Files\PostgreSQL\11\bin 이 설치한 경로였다.경로까지 입력했다면 적용을 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된다.그 후에는 cmd창으로 가서 잘 설치가 되었..
* SQL이란 ? -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전용언어를 구조화된 질의 언어(SQL)라고 한다. -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RDBMS)과 소통할 수 있는 대부분의 수단은 SQL이다. - 사용자는 SQL을 RDBMS에 보내고, RDBMS는 사용자가 보낸 SQL을 해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조작한다. * SQL의 특징 - DBMS 전용 언어 : 단순히 정보를 얻는 질의(SQL)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정의하고, 조작하고 제어하는 RDBMS의 기능도 한다. - 타 프로그래밍 언어와의 차이 : 호스트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사용자들이 데이터가 어떤 방식으로 연산되고 처리되어 결과값이 나와야 하는지에 대해서 일일..
* 데이터 - 현실에 존재하는 사실적인 자료들의 집합으로 예를 들어 온도, IQ 등과 같이 그 자체로는 단순한 사실만을 나타내는 것 * 데이터의 특성 - 통합 데이터 : 데이터들이 모여 있으면 중복되는 데이터들이 있을 수밖에 없다. 그러한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중복되는 데이터를 줄이는 것을 '통합 데이터' 라고 한다. - 저장 데이터 : 종이에 쓰인 문서나 책 등이 아니라 컴퓨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을 '저장 데이터' 라고 한다. - 운영 데이터 : 조직을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를 '운영 데이터' 라고 한다. - 공유 데이터 : 개개인의 필요에 의해 모인 데이터가 아니라, 공동의 필요에 의해 저장되는 데이터를 '공유 데이터' 라고 한다. * 데이터베이스 -..